[용어 정리] Firebase (파이어베이스)란 무엇인가?

2021. 7. 15. 10:31·CS
목차
  1. Firebase 란
  2. 서버리스(Serverless)
  3. Firebase 기능
  4. Build
  5. Release & Monitor
  6. Engage
반응형

Firebase 란

Android, iOS, 웹, C++, Unity에서 앱을 빌드하고 출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세한 설명서와 플랫폼 간
SDK(Software Development Kit,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)를 제공합니다. [공식 홈페이지]

< 정리 >
주로 염두하는 대상은 안드로이드(Android)와 iOS이다.
웹(Web) 기반의 개발, 플러터(Flutter), 유니티(Unity), C++ 환경에 대한 지원도 점점 늘려가고 있다.
구글(Google)이 소유하고 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

백엔드 기능을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로 제공

서버리스(Serverless)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

서버리스(Serverless)

서버가 존재하지만, 사용자가 신경 쓸 필요가 없다.
아래의 기능을 신경 쓸 필요 없이 배포하기만 하면 되고, 나머지는 Firebase (구글)이 알아서 해준다.
 - 프로비저닝 (Provisioning - 리소스 할당하고 계획하는 것)
 - 유지보수
 - 규모 확장
 - 데브옵스 (DevOps - 소프트웨어 개발과 운영을 통합하는 것)

Firebase 기능

출처 https://firebase.google.com/

Build

클라우드 파이어스토어(Cloud Firestore)
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제공. 특별한 점은 데이터베이스가 변경이 되었을 때 그 데이터들을 “실시간”으로 업데이트

머신러닝(Machine Learning)
구글이 가지고 있는 머신러닝에 대한 지식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 줌

클라우드 함수(Cloud Functions)
다른 파이어베이스 제품, 클라우드 제품들과도 원활하게 작동.  구글의 “서버리스(serverless)” 프레임워크

인증(Authentication)
사용자의 로그인과 ID 관리를 담당
OAuth 2.0 및 OpenID Connect 등 업계 표준을 활용하므로 커스텀 백엔드와 쉽게 통합 가능
특히 사용자들의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(access)를 제한하고 싶을 때 중요

호스팅(Hosting)
안전한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(CDN)
전 세계에 서비스할 수 있는 웹 호스팅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

클라우드 스토리지(Cloud Storage)
대규모로 확장[엑사바이트(exabyte, 1060바이트)]할 수 있는 파일 스토리지를 제공

Release & Monitor

비정상 종료 분석(Crashlytics)
버그를 빠르게 해결. 비정상 종료를 관리 가능한 문제 목록으로 바꾸어 문제 해결 시간을 줄임

성능 모니터링(Performance Monitoring)
앱 성능에 대한 실행 가능한 통찰력 확보를 도와줌
앱의 빠른 속도 및 반응성 유지
문제 해결 및 해결 시간 단축

테스트 랩(Test Lab)
앱을 여러 환경에서 테스트해볼 수 있도록 해줌
다양한 종류의 iOS와 안드로이드 기기, 그리고 가상의 안드로이드 기기들까지도 사용 가능

앱 배포(App Distribution)
앱의 출시 전 버전을 신뢰할 수 있는 테스터에게 배포

구글 애널리틱스(Google Analytics)
앱을 처음 출시한다면, 사용자 기반은 누가 될 것인지, 그들은 주로 어디에 살고 있을지, 그리고 그 앱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해서 막연한 생각 대신 데이터를 수집하여, 표나 그래프로 보여줌

Engage

인앱 메시징(In-App Messaging)
사용자들에게 맞춤화 된 타깃 메시지를 보여줘서 앱의 핵심 기능들을 사용해 볼 수 있도록 도와줌

예측(Predictions)
앱 사용자 중에서 누가 이탈할 가능성이 있는지(앱을 실행하지 않음), 그리고 누가 비용을 지출하는지(앱에서 돈을 씀)에 대한 예측을 수행

A/B 테스팅(A/B Testing)
A/B 테스팅을 이용해서 일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 이후에 판단을 내릴 수 있음
무언가를 변경할 때 아무런 정보도 없이 결정을 내린다면, 사용자들은 혼란을 겪을 수 있으니,
이를 방지 하도록 도와줌

클라우드 메시징(Cloud Messaging)
사용자 또는 앱(App)에서 일이 생겼을 때 푸시(push)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음
→ 인앱 메시징과 차이 :  인앱 메시징(FIAM) 앱 자체에서 오는 것, 클라우드 메시징(FCM) 서버에서 오는 것

원격 구성(Remote Config)
앱을 업그레이드하지 않고, 앱의 동작이나 보이는 모습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음

동적 링크(Dynamic Link)
사용자를 앱(App) 내부의 적절한 위치로 안내
앱이 아직 설치되지 않았다면, 적절한 앱 스토어로 사용자를 안내해서 설치할 수 있게 해 줌

 

반응형
저작자표시 (새창열림)
  1. Firebase 란
  2. 서버리스(Serverless)
  3. Firebase 기능
  4. Build
  5. Release & Monitor
  6. Engage
'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[용어 정리] 자료구조(Data structure)란 무엇인가?
  • [용어 정리] 렌더링 방식과 웹 아키텍처에 따른 분류 CSR/SSR SPA/MPA
  • [용어 정리] AWS 아마존 웹 서비스란 무엇인가?
  • [용어 정리] API란?
꾸매코더
꾸매코더
웹 / 앱 개발자
  • 꾸매코더
    꾸매코딩
    꾸매코더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  • 분류 전체보기 (96)
      • JavaScript (18)
        • Deep Dive (0)
      • React (5)
      • React-Native (9)
      • CSS (3)
      • TypeScript (1)
      • CS (10)
      • GitHub (4)
      • Clone Coding (15)
        • Kakaotalk [HTML + CSS] (10)
        • Momentum [JavaScript] (5)
      • Project (30)
        • Timer Project (14)
        • Netflix [React + Hooks] (12)
        • ToDoList [React-Native] (4)
      • 회고 (1)
  • 링크

    • Github
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3
꾸매코더
[용어 정리] Firebase (파이어베이스)란 무엇인가?

개인정보

  • 티스토리 홈
  • 포럼
  • 로그인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